이번 포스팅에서는 R에서 간단한 수열을 생성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연속된 정수
1씩 증가하거나 1씩 감소하는 수열을 생성할 때는 :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뒤에 있는 수 > 앞에 있는 수일 때는 증가 수열
뒤에 있는 수 < 앞에 있는 수일 때는 감소 수열이다.
2. 간격이 정해진 연속된 정수
더 다양한 형태의 수열을 만들 때는 seq 함수를 사용한다.
인자에는 수열의 시작을 나타내는 from, 수열의 끝을 나타내는 to (to값을 넘지 않게), 수열의 증가량을 나타내는 by,
수열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out, 다른 벡터를 지정하여 길이가 같은 수열을 만들기 위한 along.with가 있다.
* 이때 from, to, by 명령어는 생략하고 순서대로 입력해도 R에서 명령어를 입력한 것처럼 인식한다.
length.out이 지정된 경우에는 수열의 길이를 지정해 from부터 to 사이를 등간격으로 나누어 수열이 생성된다.
* 단, by와 length.out은 충돌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along.with가 지정된 경우에는 along.with 뒤에 오는 벡터와 같은 길이의 수열을 생성한다.
3. 특정 값이나 벡터를 반복하는 수열
특정 값이나 벡터를 반복해 새로운 수열을 만들 때에는 rep함수를 이용한다.
이때, 주어진 벡터를 몇번 반복할 것인지 지정하는 times와 각각의 원소를 몇번씩 반복할 것인지 지정하는 each가 있다.
* 꼭 구분할 것! times는 벡터 반복, each는 원소 반복
벡터의 원소가 반복되는 횟수를 다르게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times에 각 원소의 반복수를 벡터형태로 지정하면 된다.
이때, rep 함수는 벡터나 행렬을 초기화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10번,11번 코드는 새로운 벡터를 생성하는 코드이고
14번,15번 코드는 rep 함수를 이용해 벡터를 초기화하는 코드이다.
4. 순서를 역순으로 바꾸는 함수
rev 함수는 벡터를 역순으로 바꿔주는 함수이다.
수열의 순서를 역으로 바꿀 때 유용하게 쓰인다.
*총정리
이번 시간에 배운 seq 함수, rep 함수, rev 함수의 사용을 정리해보자.
'프로그래밍 > 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동등 여부 테스트 (0) | 2022.07.14 |
---|---|
1-4. 논리연산자 (0) | 2022.07.13 |
1-2. 여러가지 수학 함수들 (0) | 2022.05.24 |
1-1. 숫자 벡터의 생성과 연산 (0) | 2022.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