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단원에서는 행렬의 곱셈을 집중적으로 보도록 하자
행렬의 곱셈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우리의 직관으로는 AxB일 때 AB의 각 원소는 그저 A와 B 원소의 곱으로 표현하면 될 것 같지만, 행렬의 곱에는 특수한 조건과 정의가 존재한다.

처음에는 행렬의 곱셈이 낯설 수 있으므로 쉬운 예시를 통해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1. 행렬들의 행과 열의 개수를 파악해 행렬의 곱셈을 할 수 있는지 결정하고 (A=nxm, B=mxl 행렬이어야 함 (n,m,l은 자연수))
2. 곱한 후의 행렬이 몇x몇 행렬이 될 지 알아놓고
3. 각각의 원소들을 행렬 곱셈 정의에 따라 구하면 된다.
헷갈리면 구하고자 하는 원소의 행과 같은 행의 원소를 A에 표시하고, 구하고자 하는 원소의 열과 같은 열의 원소들을 B에 표시하면 된다!

특별하게 생긴 행렬들이 등장하는데, 이미 이름이 정해진 행렬들이므로 그냥 외우는게 낫다
대각행렬, 삼각행렬, 항등행렬은 후에 우리가 문제를 간단하게 풀 수 있게 만들어주는 도구가 될 수도 있으므로
각각의 정의와 생김새를 잘 외워두자.
(크로네커 델타는 나오는 걸 거의 못 봤다)

728x90
'기초통계학 > 선형대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행렬식 (Determinant) (2) | 2022.04.24 |
---|---|
5. 치환과 호환 (Permutation and Transposition) (1) | 2022.04.24 |
4. 역행렬 (Inverse Matrix) (0) | 2022.04.24 |
3. 전치행렬 (Transpose Matrix) (0) | 2022.04.23 |
1. 행렬 (Matrix) (기초) (0) | 2022.04.18 |
댓글